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벌레 물렸을 때 긁으면 안돼요

by 굿롸이트 2021. 8. 17.

야외 활동중에 벌레 물렸을 때 피부가 너무 가렵고 붉게 올라와서 너무 너무 가려운데 긁어도 되나요?

답은 안됩니다! 입니다.

 

 

 

출처: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벌레 물렸을 때 상처 주위를 깨끗이 씻고 약을 바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럼, 벌레 물렸을 때 사용하는 약 사용 방법과 종류, 정보 검색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출처: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벌레에 물리면 사용하는 약

 


[사용방법]
벌레에 물렸을 때에는 상처 주위를 깨끗이 씻고 약을 바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산이나 숲등 야외에서는 긴 옷을 입어 피부가 외부에 노출 되는 것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피부가 가렵다고 막 긁거나 침을 바르면 2차 감염을 일으켜 상처가 덧날 수 있는데요.
- 모기 기피제 등을 사용해 모기의 접근을 막거나 쫓아내는 것도 좋습니다.

 

 

 

 

 

 

 

출처: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종류]
벌레에 물렸을 때 사용하는 약은 액상, 크림, 로션, 연고, 겔 등의 제형으로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이 있습니다.

 

주의사항으로는 벌레 물린 데 바르는 약은 해당 부위에 적당량을 바르는 외용제로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하며, 특히 어린 아이의 경우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일반의약품
•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살 수 있습니다.
• 디펜히드라민, 디부카인염산염, 멘톨, 캄파 등의 성분과 함께 사용된 복합제
• 히드로코르티손이나 프레드니솔론아세테이트 성분이 사용된 단일제

 

 

 

출처: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 전문의약품
• 의사의 진료 후 처방전을 발급 받아 구입할 수 있습니다.
• 프레드니솔론아세테이트 성분을 1g당 3mg 포함

 

 

[정보검색]
일반의약품 중 ‘캄파’ 성분이 사용된 제품은 30개월 영유아에게는 사용하지 말아야합니다.


☞ 의약품안전나라에서 확인하세요!

의약품 등 정보검색’과 ‘e약은요정보’ 검색 효능·효과·용법·용량·사용상의 주의사항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야외활동시에는 진드기를 조심해야 합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으로 올해 첫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SFTS는 예방백신과 치료제가 없으므로 야외활동할 때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입니다.

 

진드기는 풀이 있는 장소 텃밭, 농경지, 공원, 잡목지, 초지, 활엽수림뿐 아니라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모든 환경에 널리 분포해 있습니다. 진드기는 수풀이 우거진 곳에 있다가 지나가는 사람 또는 동물을 물어 피를 빨아먹습니다. 대부분 텃밭 작업 등 농작업을 하는 경우나 등산, 산책, 성묘, 산나물 채취 등 야외활동을 할 때 진드기에 물려 감염됩니다.

 

 

출처: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SFTS감염과 관련된 진드기는 참진드기류이며 크기는 0.1~7mm로 주로 4~11월에 활동하는데요 참진드기 중 극히 일부만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어 진드기에 물렸다고 모두 SFTS에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SFTS에 감염되면 진드기에 물린 후 4~15일 이내 고열(38~40도), 소화기 증상(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 혈뇨, 혈변, 결막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명률이 높은 감염병이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야외활동이나 진드기 물림을 알리고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대부분은 크기가 작아 물렸는지 모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만일 진드기에 물린 것을 확인하였다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드기를 제거해야 합니다.

의료기관 방문이 어렵다면, 손으로 떼지 말고 핀셋을 사용해야 합니다. 피부 깊숙이 핀셋을 밀어 넣은 후 진드기 머리 부분을 잡고 수직으로 천천히 제거한 후 해당 부위를 소독해야 합니다.

 

 

 

 



◆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야외활동 전]
· 안전하게 옷 갖춰 입기(밝은 색 긴 옷, 목이 긴 양말, 모자, 목수건, 장갑 등)
· 진드기 기피제 사용하기


[야외활동 중]
· 휴식 시 돗자리 사용하기
· 풀숲에 옷 벗어 놓지 않기/풀숲에 앉지 않기
· 기피제의 효능 및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사용하기

 

 

 

출처: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야외활동 후]
· 귀가 즉시 착용 복장 일체 세탁 및 목욕
· 벌레 물린 상처 또는 진드기가 물고 있는지 확인하기
·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후 2주 이내 발열 등 증상 발생 시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 코로나 증상과 유사하므로 병원진료 시 의료진에게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력 알리기

SFTS는 예방백신과 치료제가 없으므로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입니다.

 

야외활동시에는 반드시 피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몸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냉장고 청소하는 법 여름철 관리 알아보기

서울시 소상공인 수도요금 감면 신청 사용량 50%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장고 청소하는 법 여름철 관리 알아보기  (0) 2021.08.11

댓글